본문 바로가기

INFO

2025년 세무달력 | 사업자·개인 납세자를 위한 주요 세금 신고·납부 일정

반응형

2025년 세무달력 ❘ 사업자·개인 납세자를 위한 주요 세금 신고·납부 일정

 

2025년 한 해 동안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근로소득자, 부가가치세 납세자가 반드시 챙겨야 할 세금 신고 및 납부 일정을 정리했다.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미리 일정을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 2025년 세무 일정 한눈에 보기

신고·납부 항목 대상자 신고·납부 기한
1월 4분기 원천세 신고·납부 법인·개인사업자 1월 10일(금)
  종합부동산세 분납 종부세 납부 대상자 1월 31일(금)
  부가가치세 2기 확정 신고·납부 법인·개인사업자 1월 27일(월)
2월 연말정산 지급명세서 제출 원천징수의무자 2월 10일(월)
3월 법인세 신고·납부 (12월 결산법인) 법인사업자 3월 31일(월)
4월 1분기 원천세 신고·납부 법인·개인사업자 4월 10일(목)
  종합소득세 예정신고·납부 개인사업자 (선택) 4월 30일(수)
5월 종합소득세 확정 신고·납부 개인사업자·프리랜서·근로소득자 5월 31일(토) (6월 2일로 연장 가능)
  개인지방소득세 신고·납부 개인사업자·근로소득자 5월 31일(토) (6월 2일로 연장 가능)
6월 성실신고확인 대상자 종합소득세 신고 성실신고대상 개인사업자 6월 30일(월)
7월 2분기 원천세 신고·납부 법인·개인사업자 7월 10일(목)
  부가가치세 1기 확정 신고·납부 법인·개인사업자 7월 25일(금)
8월 법인세 중간예납 법인사업자 8월 31일(일) (9월 1일로 연장 가능)
10월 3분기 원천세 신고·납부 법인·개인사업자 10월 10일(금)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개인사업자 10월 31일(금)
11월 재산세 (토지) 납부 부동산 보유자 11월 30일(일) (12월 1일로 연장 가능)
12월 종합부동산세 신고·납부 종부세 대상자 12월 15일(월)

💡 법정 기한이 주말 또는 공휴일이면 다음 영업일로 연장된다.

 

📌 주요 세금 신고·납부 일정 상세 설명

1️⃣ 부가가치세 신고 (1월, 7월)

  • 신고 대상: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간이과세자
  • 신고 시기:
    • 1월 27일(월) → 2024년 2기 확정 신고 (7~12월 매출)
    • 7월 25일(금) → 2025년 1기 확정 신고 (1~6월 매출)
  • 신고 방법: 홈택스 전자신고 또는 세무서 방문

💡 과세사업자는 부가세 신고를 잊지 말고 기한 내 납부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다.

2️⃣ 종합소득세 신고 (5월)

  • 신고 대상: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근로소득자
  • 신고 기한: 2025년 5월 31일(토) (6월 2일로 연장 가능)
  • 신고 방법: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
  • 유의 사항:
    • 성실신고확인대상자는 6월 30일까지 신고
    • 종합소득세 납부 후 개인지방소득세도 별도로 신고해야 함

💡 소득이 있는 모든 개인사업자는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꼭 해야 한다.

3️⃣ 법인세 신고 (3월)

  • 신고 대상: 12월 결산 법인
  • 신고 기한: 2025년 3월 31일(월)
  • 신고 방법: 홈택스 전자신고 또는 세무사 대행

💡 법인세 신고 시 매출·비용 증빙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4️⃣ 원천세 신고 (1월, 4월, 7월, 10월)

  • 신고 대상: 급여 지급 법인·개인사업자
  • 신고 기한: 분기별 익월 10일까지 (1월, 4월, 7월, 10월)
  • 신고 방법: 홈택스 원천세 전자신고

💡 직원을 고용한 사업자는 급여 지급 시 원천세 신고를 잊지 말아야 한다.

5️⃣ 종합부동산세 신고 (12월)

  • 신고 대상: 공시가격 6억 원(1세대 1주택자 11억 원) 초과 부동산 보유자
  • 신고 기한: 2025년 12월 15일(월)
  • 신고 방법: 홈택스 전자신고

💡 부동산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면 세무사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 세금 신고·납부 시 주의할 점

기한 내 신고·납부를 반드시 완료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음
세무 일정이 많을 경우 세무사 또는 세무 대행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
신고 기한이 공휴일이면 다음 영업일까지 연장됨
납부세액이 큰 경우 분납 신청 가능 (일부 세목에 한함)

💡 홈택스를 활용하면 대부분의 세금 신고를 온라인에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 결론 | 2025년 세무 일정, 미리 체크하고 대비하자!

1월, 7월 → 부가세 신고 필수 (법인·개인사업자 대상)
5월 → 종합소득세 신고 (개인사업자·프리랜서 대상)
3월 → 법인세 신고 (법인사업자 대상)
매 분기 원천세 신고 (급여 지급 사업자 대상)
12월 → 종합부동산세 신고 (고가 부동산 보유자 대상)

💡 세금 신고 일정은 미리 체크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한을 놓치면 불필요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철저히 대비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