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 해 동안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근로소득자, 부가가치세 납세자가 반드시 챙겨야 할 세금 신고 및 납부 일정을 정리했다.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미리 일정을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 2025년 세무 일정 한눈에 보기
월 | 신고·납부 항목 | 대상자 | 신고·납부 기한 |
1월 | 4분기 원천세 신고·납부 | 법인·개인사업자 | 1월 10일(금) |
종합부동산세 분납 | 종부세 납부 대상자 | 1월 31일(금) | |
부가가치세 2기 확정 신고·납부 | 법인·개인사업자 | 1월 27일(월) | |
2월 | 연말정산 지급명세서 제출 | 원천징수의무자 | 2월 10일(월) |
3월 | 법인세 신고·납부 (12월 결산법인) | 법인사업자 | 3월 31일(월) |
4월 | 1분기 원천세 신고·납부 | 법인·개인사업자 | 4월 10일(목) |
종합소득세 예정신고·납부 | 개인사업자 (선택) | 4월 30일(수) | |
5월 | 종합소득세 확정 신고·납부 | 개인사업자·프리랜서·근로소득자 | 5월 31일(토) (6월 2일로 연장 가능) |
개인지방소득세 신고·납부 | 개인사업자·근로소득자 | 5월 31일(토) (6월 2일로 연장 가능) | |
6월 | 성실신고확인 대상자 종합소득세 신고 | 성실신고대상 개인사업자 | 6월 30일(월) |
7월 | 2분기 원천세 신고·납부 | 법인·개인사업자 | 7월 10일(목) |
부가가치세 1기 확정 신고·납부 | 법인·개인사업자 | 7월 25일(금) | |
8월 | 법인세 중간예납 | 법인사업자 | 8월 31일(일) (9월 1일로 연장 가능) |
10월 | 3분기 원천세 신고·납부 | 법인·개인사업자 | 10월 10일(금) |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 개인사업자 | 10월 31일(금) | |
11월 | 재산세 (토지) 납부 | 부동산 보유자 | 11월 30일(일) (12월 1일로 연장 가능) |
12월 | 종합부동산세 신고·납부 | 종부세 대상자 | 12월 15일(월) |
💡 법정 기한이 주말 또는 공휴일이면 다음 영업일로 연장된다.
📌 주요 세금 신고·납부 일정 상세 설명
1️⃣ 부가가치세 신고 (1월, 7월)
- 신고 대상: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간이과세자
- 신고 시기:
- 1월 27일(월) → 2024년 2기 확정 신고 (7~12월 매출)
- 7월 25일(금) → 2025년 1기 확정 신고 (1~6월 매출)
- 신고 방법: 홈택스 전자신고 또는 세무서 방문
💡 과세사업자는 부가세 신고를 잊지 말고 기한 내 납부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다.
2️⃣ 종합소득세 신고 (5월)
- 신고 대상: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근로소득자
- 신고 기한: 2025년 5월 31일(토) (6월 2일로 연장 가능)
- 신고 방법: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
- 유의 사항:
- 성실신고확인대상자는 6월 30일까지 신고
- 종합소득세 납부 후 개인지방소득세도 별도로 신고해야 함
💡 소득이 있는 모든 개인사업자는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꼭 해야 한다.
3️⃣ 법인세 신고 (3월)
- 신고 대상: 12월 결산 법인
- 신고 기한: 2025년 3월 31일(월)
- 신고 방법: 홈택스 전자신고 또는 세무사 대행
💡 법인세 신고 시 매출·비용 증빙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4️⃣ 원천세 신고 (1월, 4월, 7월, 10월)
- 신고 대상: 급여 지급 법인·개인사업자
- 신고 기한: 분기별 익월 10일까지 (1월, 4월, 7월, 10월)
- 신고 방법: 홈택스 원천세 전자신고
💡 직원을 고용한 사업자는 급여 지급 시 원천세 신고를 잊지 말아야 한다.
5️⃣ 종합부동산세 신고 (12월)
- 신고 대상: 공시가격 6억 원(1세대 1주택자 11억 원) 초과 부동산 보유자
- 신고 기한: 2025년 12월 15일(월)
- 신고 방법: 홈택스 전자신고
💡 부동산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면 세무사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 세금 신고·납부 시 주의할 점
✅ 기한 내 신고·납부를 반드시 완료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음
✅ 세무 일정이 많을 경우 세무사 또는 세무 대행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
✅ 신고 기한이 공휴일이면 다음 영업일까지 연장됨
✅ 납부세액이 큰 경우 분납 신청 가능 (일부 세목에 한함)
💡 홈택스를 활용하면 대부분의 세금 신고를 온라인에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 결론 | 2025년 세무 일정, 미리 체크하고 대비하자!
✔ 1월, 7월 → 부가세 신고 필수 (법인·개인사업자 대상)
✔ 5월 → 종합소득세 신고 (개인사업자·프리랜서 대상)
✔ 3월 → 법인세 신고 (법인사업자 대상)
✔ 매 분기 원천세 신고 (급여 지급 사업자 대상)
✔ 12월 → 종합부동산세 신고 (고가 부동산 보유자 대상)
💡 세금 신고 일정은 미리 체크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한을 놓치면 불필요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철저히 대비하자! ✅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스팅(Classting): AI 기반 맞춤형 학습 플랫폼 (0) | 2025.03.06 |
---|---|
연차 관리 | 연차 계산법, 사용 기준, 미사용 연차 수당 총정리 (0) | 2025.03.05 |
준강제추행죄 | 법적 정의, 처벌 수위 및 대응 방법 총정리 (0) | 2025.03.05 |
악세스 플로어(Access Floor) 가격 | 종류별 비용, 시공 방법, 선택 가이드 (0) | 2025.03.05 |
미션 오일 교체 비용 | 가격, 교체 주기, 비용 절약 방법 총정리 (0) | 2025.03.04 |
스타벅스 SS 스탠리 러브 켄처 1183ml 텀블러 출시! 한정판 대용량 텀블러 화이트데이 한정 (0) | 2025.03.03 |
친생자부존재 확인 청구 | 개념, 소송 절차 및 필요 서류 총정리 (0) | 2025.03.03 |
음주 반성문 작성 예시 | 진심이 담긴 반성문 작성법 (0) | 2025.03.02 |